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hapter2. Standard Cell] Directional Layer 기법: 수직 vs 수평 배선 전략

by 편안한 잡학다방 2025. 4. 14.

Directional Layer 기법 수직 vs 수평 배선 전략
Directional Layer 기법 수직 vs 수평 배선 전략

디지털 레이아웃 설계에서 배선(Wiring)은 단순한 연결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배선의 품질과 구성 방식은 전체 칩의 신호 지연, 전력 소비, 노이즈 특성, 면적 효율성 등 다양한 요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IC 설계에서는 Directional Layer 기법이라는 기본 원칙을 도입해 배선 방향과 층별 역할을 명확히 구분합니다.

Directional Layer 기법은 각 금속 레이어(Metal Layer)가 수직 혹은 수평 방향 중 하나로만 배선되도록 설계하는 방식으로, 설계의 정합성과 제조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Directional Layer 설계 기법의 원리와 규칙, 수직과 수평 배선의 구체적 차이, 고속 신호 및 전력망 배선에서의 적용 전략, 그리고 실무 배선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주의사항을 보다 상세하게 다루겠습니다.


1. Directional Layer 기법이란?

Directional Layer란 배선이 사용되는 각 금속 층에 대해 단일 방향 배선만 허용하도록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방법론입니다. 이렇게 방향을 고정하면 자동화 도구가 배선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신호 간섭(Crosstalk)과 레이어 간 충돌 위험이 줄어들게 됩니다.

일반적인 방향 설정 규칙:

  • 짝수 Metal Layer (M2, M4, M6, M8...) → 수직 방향 배선 (Vertical Routing)
  • 홀수 Metal Layer (M1, M3, M5, M7...) → 수평 방향 배선 (Horizontal Routing)

이는 공정 노드와 설계 룰셋에 따라 일부 변형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디자인 룰은 위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기대 효과:

  • 배선 경로 자동화 정확도 향상
  • Via 사용 규칙화 → DRC 에러 감소
  • 혼잡 구간 해소 → Routing Yield 향상

2. 수직 vs 수평 배선의 역할 비교

배선 방향을 구분하는 것은 단순한 관습이 아니라 실질적인 성능 최적화 전략입니다. 각 방향의 배선은 다음과 같은 용도로 구분되어 사용됩니다:

● 수평 배선 (예: M1, M3)

  • 셀 내부 또는 Row 간 연결에 주로 사용
  • 셀 간 핀 연결 및 신호 전달에 최적화
  • 배선 간격이 좁고, 고밀도 라우팅 가능

● 수직 배선 (예: M2, M4)

  • 상하 블록 간 연결, 긴 거리 신호 전달
  • 클럭, 제어 신호 등 주요 Net의 Routing에 사용
  • 상대적으로 두껍고 간섭 최소화에 유리

배선 방향을 고정함으로써 자동 배선 툴은 레이어 전환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해 Via 개수 감소, 레이아웃 단순화, 신호 지연 최소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고속 신호 및 전력망 배선 전략

● 고속 신호 처리 시 고려사항

  • 수직 방향 Metal Layer 우선 배치: 긴 신호 경로에서 지연 발생 최소화
  • GND 라인을 주변에 병렬 배치 (Shielding) → Signal Integrity 향상
  • Wire Spacing 확보: 민감한 경로 간 Crosstalk 방지

● 전력망 및 클럭 트리 설계 시 활용

  • Power Ring, Power Stripe는 보통 높은 Metal Layer(M6 이상)에 수평 방향으로 구성
  • 전력은 수평, 클럭은 수직 또는 양방향으로 설계
  • EM(전자 마이그레이션), IR Drop 방지를 위해 Layer 당 전류 밀도 최적화 고려

특히 고속 클럭 트리의 경우 Directional Layer 기법을 기반으로 Clustering과 Buffer Insertion이 수행되며, 이는 CTS 품질에 결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4. 실무에서의 설계 전략 및 주의점

디자인 룰과 배선 전략을 효과적으로 연계하려면 다음 사항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 레이어별 배선 폭과 Spacing Rule 사전 확인: 신호와 전력망의 우선순위를 레이아웃 시작 전에 계획
  • Via Depth 최소화 전략: 가능한 한 적은 층간 전환으로 배선 연결 완성
  • Power/Signal Layer 분리: 전력망을 Signal Layer와 분리해 전기적 간섭 방지
  • 혼잡 구간 예외 처리: 일부 Routing Congestion 영역에서는 비표준 방향 배선 허용이 필요한 경우도 있음
  • EDA Tool 세팅 최적화: Innovus, ICC2 등의 설정에서 Direction Constraint 사용하여 오류 방지

한 줄 요약

"Directional Layer 기법은 레이아웃의 정합성과 성능을 동시에 높이는 배선 전략의 골격이다."


다음 글 예고

👉 [Chapter2] Channel Routing과 채널 라우터의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