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5 [Chapter1. Digital Layout] 배치(Placement) 단계의 자동화와 수동 조정 전략 및 고도화 기법 디지털 레이아웃 설계에서 Placement(배치) 단계는 논리 합성을 통해 생성된 표준 셀(Standard Cell)들을 실제 실리콘 위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자동화된 알고리즘에 의해 주도되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설계자의 수동 개입도 필요합니다. 배치가 잘못되면 배선 길이 증가, 타이밍 오류, 전력 소모 증가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Placement는 전체 레이아웃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Placement의 개념과 자동화 절차, 그리고 수동 조정이 필요한 대표 사례들을 실무적 관점에서 정리합니다.1. Placement의 목적과 위치Placement는 디지털 레이아웃 설계 흐름 중 다음 단계에 해당합니다:Logic Synthes.. 2025. 4. 12. [Chapter1. Digital Layout] 플로어플래닝(Floorplanning)의 개념과 초기 배치 전략 디지털 레이아웃 설계의 첫 단계는 바로 플로어플래닝(Floorplanning)입니다. 이는 칩 설계의 전체 공간을 기능 블록 단위로 나누고, 각 블록이 차지할 영역과 위치를 계획하는 과정입니다. 플로어플래닝은 물리적 배치 전략의 출발점이자, 배선 품질과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단계입니다.이번 글에서는 플로어플래닝의 개념부터, 이를 수행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 그리고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배치 전략들을 심층적으로 정리합니다.1. 플로어플래닝이란?플로어플래닝(Floorplanning)은 회로 블록의 위치, 크기, 방향, 상호 관계 등을 정하는 칩 설계의 초기 물리 배치 과정입니다. 이 단계에서의 결정은 전체 칩의 다음 요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배선 길이와 밀도전력 분배 구조(PDN: Power D.. 2025. 4. 11. [Chapter1. Digital Layout] 클럭 트리 구조와 Clock Tree Synthesis의 원리 디지털 회로에서 클럭(Clock)은 모든 동작의 기준이 되는 타이밍 신호입니다. 이 클럭 신호가 설계 내 모든 플립플롭(flip-flop)에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도달해야만 회로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장하기 위해 레이아웃 설계에서는 클럭 트리(Clock Tree)라는 구조를 만들고, 이를 자동으로 설계해주는 Clock Tree Synthesis(CTS) 도구를 사용합니다.이번 글에서는 클럭 트리의 개념부터, CTS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그리고 실무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포인트들을 깊이 있게 정리합니다.1. 클럭 트리란?클럭 트리(Clock Tree)는 하나의 클럭 소스(예: PLL, Oscillator)에서 발생한 클럭 신호를 설계 내의 모든 플립플롭에 균일하게 분배하기 .. 2025. 4. 11. 이전 1 ··· 5 6 7 8 9 10 11 ··· 29 다음